20일 정부·국회 등에 따르면 지난달 21일 박영선 중기부 장관 주재로 열린 중소기업 금융지원위원회에서 이 같은 방안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.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금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는 금융지원위는 중소기업중앙회장과 기업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장, 신용보증재단 등 유관기관장 등이 참여한다.
소상공인 지원 정책자금 대출신청 기준을 완화하려는 것은 기존 기준을 적용하면 코로나19로 소상공인들의 신용등급 자체가 지속 하락하는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사각지대를 만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와서다.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대표적인 정책자금인 소상공인 특화자금은 신용등급 1~6등급만 신청이 가능하다. 이렇다 보니 소진공의 정책자금의 70%인 3조원이 7등급 이하의 저신용 소상공인들은 접근이 봉쇄되는 한계가 있다. 특히 코로나19로 매출이 급감한 소상공인들의 신용등급이 지속적으로 떨어질 수 있어 정책자금의 혜택을 입지 못하는 소상공인이 늘어날 수 있다. 최근 열린 중기부 산하기관 국감에서도 이같은 문제점이 제기됐다. 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“코로나19로 매출 타격을 입은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의 신용등급이 모두 하락할 수 있다”며 “현재의 (정책자금 신청)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면 하루아침에 6등급에서 7등급으로 신용등급이 내려간 소상공인은 지원을 하나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”고 지적했다.
정책 자금의 모럴해저드(도덕적 해이)나 사고율(부실율)을 적정선으로 관리해야 하다 보니 상대적으로 신용이 좋은 고신용 소상공인에 집중될 수 밖에 없는 구조도 대출신청 기준 완화를 추진하는 배경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. 나이스평가정보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은행 대출고객 신용등급 분포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, 지난달 말 기준 신용대출 이용 고객 646만명 가운데 48%가 1등급이다. 2016년 40%였던 이 비율은 지난해 46%에서 올해 48%로 올랐다. 1~3등급은 78%였다. 업계에서는 “자금집행 기관들이 코로나로 저신용자의 대출 상환이 더 어렵다고 판단해 고신용 소상공인을 선호한 결과”라고 말했다. 하지만 신청기준을 완화할 경우 도덕적 해이와 관리부실 등의 논란이 불가피해 정부는 물론 정치권 등이 적극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. /양종곤기자 ggm11@sedaily.com
October 21, 2020 at 05:04AM
https://ift.tt/3m4qJtI
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7등급도 가능해지나 - 서울경제 - 서울경제신문
https://ift.tt/3hqkDm3
Bagikan Berita Ini
0 Response to "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7등급도 가능해지나 - 서울경제 - 서울경제신문"
Post a Comment